FACS교육

  • FACSymphony A1 (analyzer) 장비 교육 안내

  • 2025.04.15
KAIST줄기세포연구센터 (KSCC)에서 운영하고 있는 BD FACSymphony A1 (analyzer) 장비의 자율 사용자 교육을 안내 드립니다. 장비의 사양 및 자세한 사항은 첨부 파일을 참고해주세요.

교육은 이론 교육과 장비 실습 교육으로 나뉘어지며, 장비 실습 교육은 이론 교육을 수료하신 이후에 신청 가능합니다.

아래의 안내문을 읽어보시고, 교육을 희망하시는 분들께서는 신청서를 작성하여 담당자 (윤인아, iyoon@kaist.ac.kr)에게 보내주세요.
 

* 장비명: FACSymphony A1 (기초과학동 E6-6, 511호)

* 레이저 사양: 4 Lasers 16 Colors, SPD (자세한 사항은 첨부파일 참조)

* 사용료: 기관내부/사용의뢰 - 5만원/시간 
             기관내부/자율사용 - 3만원/시간 

* 자율 사용자 교육 안내: 
BD 온라인 교육 수료 (매달 BD Korea 학술팀 진행) + 관리자와 3번의 실습 교육
1) 지원 자격: KAIST 소속으로서 FACSymphony A1 (analyzer)를 주기적으로 자주 사용할 사람 (월 1회 이상)

2) 이론 교육: BD 온라인 교육
2025년 BD FACS 온라인교육 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교육 관련 문의는 BD Korea 학술팀 (bdbkorea_training@bd.com) 으로 연락주시면 정확한 안내를 받으실 수 있습니다.

교육 신청 링크: BD 온라인 교육 신청



9:30~12:00 - FlowJo Basic (선택)
13:30~15:00 - Principle of Flow Cytometry 이론 교육 (필수)
15:10~17:10 - FACSDiva Software 장비 교육 (필수)


교육 당일, 교육 시작 시각과 마치는 시각에 두 번 스크린샷을 찍어서 인증해주세요. (얼굴은 나오지 않아도 됩니다. 이름과 시각 확인만 가능하면 됩니다.)

3) 장비 실습 교육
 - 자율 사용자 자격 획득 이후, 3개월 이상 장비를 사용하지 않으시면 자율 사용자 자격은 정지됩니다.
 - 장비 실습 교육은 이론 교육을 수료하신 이후에 신청 가능합니다.
 - 기존에 분석 장비 사용을 위해 BD 학술팀이 매달 제공하는 온라인 교육을 수료하신 경우, 이론 교육 이수하신 것으로 인정해드리고 있습니다.
 - 1회차 실습 교육: 1:4 소그룹 교육 (2시간 30분~3시간 소요)
 - 2회차 이후의 실습 교육: 1:1 개별 교육 (2시간 소요)
 - 2회차 개별 교육부터는 교육시간 (2시간)에 대한 장비 사용료가 청구됩니다. (사용의뢰-5만원/시간)
 - FACS 사용이 처음인 경우, 2회차 교육은 비드로 진행합니다.
 - 직접 준비한 샘플로 최소 1회 이상 교육을 진행해야 자율 사용자 교육이 수료됩니다.
 - 3 번의 실습 교육은 1차 실습 교육으로부터 2달 이내로 끝내야 합니다. 2달 이내 끝내지 못하는 경우, 다시 대기자 명단으로 돌아가 처음부터 시작합니다.
 - 3회차 교육시 독립적인 장비 사용이 어렵다고 판단되면, 자율 사용자 자격 획득 전에 추가 교육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 사용자가 충분히 숙련된 경우, 3 번의 실습 교육 이전에 테스트를 거쳐 자율 사용자 자격을 얻을 수도 있습니다.

4) 장비 교육 신청 양식
장비 교육을 원하시는 분은 아래 신청 양식을 작성하여 담당자에게 이메일로 신청해주시기 바랍니다.
(담당자: 윤인아, iyoon@kaist.ac.kr)

신청자 이름:
지도교수님 성함:
소속: (생명과학과/의과학대학원/뇌인지과학과 등)
직위: (박사과정/박사후연구원/석박통합 등)
이론교육수료여부:
기존 FACS 장비 사용 경험: (Analyzer를 포함하여 FACS 장비 사용 경험을 적어주세요. 사용 경험이 없어도 교육 신청 가능합니다.)
SPD 교육 신청 여부: (O/X)
교육 후 해당 장비의 예상 사용 빈도:

기타 다른 문의사항이 있으신 경우 담당자에게 이메일로 문의 부탁드립니다. (담당자: 윤인아, iyoon@kaist.ac.kr)

KAIST줄기세포연구센터 드림

줄기세포&재생생물학대학원